안녕하세요!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운영체제의 버전을 확인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리눅스는 여러 배포판이 존재하기 때문에, 각 배포판에서 OS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가 다를 수 있습니다. 이러한 다양한 방법을 정리하여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
1. 기본적인 명령어
리눅스에서 OS 버전을 확인하는 가장 일반적인 명령어는
uname
입니다. 이 명령어는 시스템의 정보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uname -a
위 명령어를 입력하면, 시스템의 커널 정보와 릴리즈 버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출력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.
2. OS 배포판 및 버전 확인
리눅스 환경에 따라 배포판의 정보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도 있습니다. 여기서는 주로 사용되는 몇 가지 명령어를 소개합니다.
2.1. /etc/os-release 파일 확인
대부분의 최신 리눅스 배포판에서는
/etc/os-release
파일을 사용하여 배포판 정보를 저장합니다. 이 파일을 확인하면, 배포판의 이름과 버전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cat /etc/os-release
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.2. lsb_release 명령어 사용
Diffent 배포판 간의 호환성 유지를 위한
lsb_release
명령어 또한 유용합니다. 대부분의 리눅스 환경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.
lsb_release -a
위 명령어를 통해 배포판의 이름, 버전, 코드명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2.3. hostnamectl 명령어 사용
시스템의 상태 정보를 보여주는
hostnamectl
명령어도 유용합니다. 주로 시스템의 호스트네임과 OS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hostnamectl
위와 같이 입력하면 시스템의 호스트네임, 운영 체제, 커널 버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3. 배포판에 따른 명령어 요약
각 배포판 별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요약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Ubuntu/Debian:
cat /etc/os-release
,lsb_release -a
- CentOS/RedHat:
cat /etc/redhat-release
,hostnamectl
- Fedora:
cat /etc/fedora-release
,lsb_release -a
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리눅스 OS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필요에 따라 각 명령어를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. 리눅스의 자유롭고 유연한 환경을 만끽하세요!
'I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ELinux: 이해와 설정 방법 (1) | 2025.04.08 |
---|---|
윈도우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를 이용해 우분투 설치하기 (0) | 2025.03.06 |
리눅스 Vi 명령어 정리: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와 유용한 팁 (0) | 2025.03.04 |
라즈베리파이(Raspbian/Linux) CIFS 마운트/자동 마운트 하기! (3) | 2019.10.11 |
CentOS 아파치 상태/재시작/시작/중지 명령어 (0) | 2018.10.25 |